편성교과목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0/전학기 균형 1210002
외국인을위한한국사 (Korean History for Foreign Students)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10002
  • 교과목명 : 외국인을위한한국사 (Korean History for Foreign Student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외국 유학생, 교환학생뿐 아니라 한국 학생들이 한국사를 세계사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전체 강의가 영어로 진행되며, 프리젠테이션을 포함한 모든 자료가 영어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한국 역사와 문화의 특징을 국제적 시야에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중국, 일본과 같은 주변국은 물론 서구 사회 및 문화와 한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그 역사적 연원이 무엇인지를 살피는 데 역점을 둔다.

    • English

      This class will provide the understanding for the lives of pre-modern Korean people and their cultural tradition in perspective of comparison with those of China, Japan, and other regions. All lectures and materials will be given in English.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외국 유학생, 교환학생뿐 아니라 한국 학생들이 한국사를 세계사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전체 강의가 영어로 진행되며, 프리젠테이션을 포함한 모든 자료가 영어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 한국 역사와 문화의 특징을 국제적 시야에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중국, 일본과 같은 주변국은 물론 서구 사회 및 문화와 한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그 역사적 연원이 무엇인지를 살피는 데 역점을 둔다.

  • English

    This class will provide the understanding for the lives of pre-modern Korean people and their cultural tradition in perspective of comparison with those of China, Japan, and other regions. All lectures and materials will be given in English.

닫기
0/전학기 균형 1210022
취업준비한국사 (Korean History for Employment)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10022
  • 교과목명 : 취업준비한국사 (Korean History for Employ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수강생들에게 ‘한국사능력 검정시험’ 등에 필요한 한국사의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취업 준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수강생들은 한국사의 주요 사건 및 논점을 이해함으로써, ‘역사를 보는 사고력’(historical thinking)을 키울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모든 학생이 수강할 수 있는 교과목으로, 한국사 시험의 기초부터 고급까지 모두 대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basic knowledge of Korean history necessary for the Korean History Exam to help college students prepare for employment. In addition, students can develop 'history thinking' by understanding the main events and issues of Korean history. It is a course that all students can take, and aims to prepare for everything from the basics to advanced level of the Korean History Exa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수강생들에게 ‘한국사능력 검정시험’ 등에 필요한 한국사의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취업 준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수강생들은 한국사의 주요 사건 및 논점을 이해함으로써, ‘역사를 보는 사고력’(historical thinking)을 키울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모든 학생이 수강할 수 있는 교과목으로, 한국사 시험의 기초부터 고급까지 모두 대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basic knowledge of Korean history necessary for the Korean History Exam to help college students prepare for employment. In addition, students can develop 'history thinking' by understanding the main events and issues of Korean history. It is a course that all students can take, and aims to prepare for everything from the basics to advanced level of the Korean History Exam.

닫기
1/1학기 전선 4281006
고적현장실습1 (Spot Exercise in Historic Remains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06
  • 교과목명 : 고적현장실습1 (Spot Exercise in Historic Remain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유적지를 선정하여 유물과 유적이 있는 현장을 실제 답사하면서 발표와 토론, 그리고 각종 세미나를 통해 관련 사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역사적 안목을 키워가도록 한다. 동시에 현장 실습의 준비와 실행, 결과 정리 및 검토의 과정을 통하여 역사 연구자 및 역사교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English

      Actually exploring the historical site where artifacts and monuments are located, expand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develop historical perspective through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seminars. At the same time, will be provided with the qualities and abilities as history researcher and history teacher through the process of preparation and execution of field training, results arrangement and review.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유적지를 선정하여 유물과 유적이 있는 현장을 실제 답사하면서 발표와 토론, 그리고 각종 세미나를 통해 관련 사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역사적 안목을 키워가도록 한다. 동시에 현장 실습의 준비와 실행, 결과 정리 및 검토의 과정을 통하여 역사 연구자 및 역사교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English

    Actually exploring the historical site where artifacts and monuments are located, expand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develop historical perspective through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seminars. At the same time, will be provided with the qualities and abilities as history researcher and history teacher through the process of preparation and execution of field training, results arrangement and review.

닫기
1/1학기 전선 4281049
서양사탐구 (Study on European History)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49
  • 교과목명 : 서양사탐구 (Study on European His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사학습의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사의 주요한 역사적 사실을 학습하고 서양사의 역사적 특징을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사의 주요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Study on European History’ is to know the basic knowledges about learning of western history. In this subject, the students stud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western history.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historical facts in western histo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사학습의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사의 주요한 역사적 사실을 학습하고 서양사의 역사적 특징을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사의 주요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Study on European History’ is to know the basic knowledges about learning of western history. In this subject, the students stud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western history.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historical facts in western history.

닫기
1/1학기 전선 4281991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991
  • 교과목명 :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대학 1학년을 맞이하는 학생들이 학교생활 적응 및 학업 애로 사항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업은 물론 향후 개인 삶에서의 비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특히 역사교사를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 스스로 역사교사로서의 삶과 비전을 확립하고 효율적인 임용시험 준비하도록 안내하고자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help first-year college students realize their vision in future personal life as well as employment by allowing them to address school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difficulties. In particular, students aiming to become history teachers will be guided to establish their own life and vision as history teachers and prepare for efficient appointment t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대학 1학년을 맞이하는 학생들이 학교생활 적응 및 학업 애로 사항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업은 물론 향후 개인 삶에서의 비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특히 역사교사를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 스스로 역사교사로서의 삶과 비전을 확립하고 효율적인 임용시험 준비하도록 안내하고자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help first-year college students realize their vision in future personal life as well as employment by allowing them to address school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difficulties. In particular, students aiming to become history teachers will be guided to establish their own life and vision as history teachers and prepare for efficient appointment tests.

닫기
1/2학기 전필 4281001
한국고대사 (Ancient History of Korea)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81001
  • 교과목명 : 한국고대사 (Ancient History of Korea)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 고대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역사적 맥락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고조선~나말여초 시기를 대상으로 하여 역사의 전개와 문화적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동아시아 세계 속에서 한국 고대문화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한국고대사를 체계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lecture aims to grasp the structure and nature of Korea's ancient society in a historical context. Through this, We can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history and cultural character by targeting the period of Old Choseon ~ Unified Silla. Pay particular attention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cient culture in the East Asian world.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systematically teach Korean ancient history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 고대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역사적 맥락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고조선~나말여초 시기를 대상으로 하여 역사의 전개와 문화적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동아시아 세계 속에서 한국 고대문화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한국고대사를 체계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lecture aims to grasp the structure and nature of Korea's ancient society in a historical context. Through this, We can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history and cultural character by targeting the period of Old Choseon ~ Unified Silla. Pay particular attention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cient culture in the East Asian world.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systematically teach Korean ancient history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닫기
1/2학기 전선 4281071
아시아사탐구 (Study on Asian History)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71
  • 교과목명 : 아시아사탐구 (Study on Asian His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아시아사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 효율적인 강의를 위하여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북아시아 및 중앙아시아로 지역을 나누어 지역사의 관점에서 다루되,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시대적 흐름 위에 각 국가, 지역, 문화권의 역사적 사실들을 상호 관련짓고 맥락화하여 전체적인 세계상을 구성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hav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Asian history. For efficient lectures, regions are divided into Southeast Asia, South Asia, West Asia, North Asia and Central Asia. In the view of local history and the trend of the times, the historical facts of each country, region and culture are interrelated and interrelated to form an overall world histo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아시아사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 효율적인 강의를 위하여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북아시아 및 중앙아시아로 지역을 나누어 지역사의 관점에서 다루되,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시대적 흐름 위에 각 국가, 지역, 문화권의 역사적 사실들을 상호 관련짓고 맥락화하여 전체적인 세계상을 구성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hav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Asian history. For efficient lectures, regions are divided into Southeast Asia, South Asia, West Asia, North Asia and Central Asia. In the view of local history and the trend of the times, the historical facts of each country, region and culture are interrelated and interrelated to form an overall world history.

닫기
2/1학기 전필 4281003
서양고대사 (Ancient History of Europe)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81003
  • 교과목명 : 서양고대사 (Ancient History of Europ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 고대사의 주요 흐름을 그 역사적 전개과정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 고대사의 시대적 특징을 파악하고 주요한 정치적, 문화적 사실을 역사적으로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고대사의 주요 사실을 파악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Ancient History of Europe’ is to understand the mainstream of ancient western history. In this subject, students stud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ancient western history and the chief political and cultural facts in that field.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historical facts in ancient western history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 고대사의 주요 흐름을 그 역사적 전개과정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 고대사의 시대적 특징을 파악하고 주요한 정치적, 문화적 사실을 역사적으로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고대사의 주요 사실을 파악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Ancient History of Europe’ is to understand the mainstream of ancient western history. In this subject, students stud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ancient western history and the chief political and cultural facts in that field.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historical facts in ancient western history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닫기
2/1학기 전선 4281007
한국중세사 (Medieval History of Korea)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07
  • 교과목명 : 한국중세사 (Medieval History of Korea)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 중세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역사적 맥락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고려 시기를 대상으로 하여 역사의 전개와 문화적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동아시아 세계 속에서 한국 중세문화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한국중세사를 체계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lecture aims to grasp the structure and nature of Korea's medieval society in a historical context. Through this, We can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history and cultural character by targeting the period of Koryeo Dynasty. Pay particular attention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edieval culture in the East Asian world.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systematically teach Korean medieval history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 중세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역사적 맥락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고려 시기를 대상으로 하여 역사의 전개와 문화적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동아시아 세계 속에서 한국 중세문화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한국중세사를 체계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lecture aims to grasp the structure and nature of Korea's medieval society in a historical context. Through this, We can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history and cultural character by targeting the period of Koryeo Dynasty. Pay particular attention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edieval culture in the East Asian world.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systematically teach Korean medieval history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닫기
2/1학기 전필 4281022
고적현장실습2 (Spot Exercise in Historic Remains 2)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81022
  • 교과목명 : 고적현장실습2 (Spot Exercise in Historic Remain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유적지를 선정하여 유물과 유적이 있는 현장을 실제 답사하면서 발표와 토론, 그리고 각종 세미나를 통해 관련 사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역사적 안목을 키워가도록 한다. 동시에 현장 실습의 준비와 실행, 결과 정리 및 검토의 과정을 통하여 역사 연구자 및 역사교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English

      Actually exploring the historical site where artifacts and monuments are located, expand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develop historical perspective through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seminars. At the same time, will be provided with the qualities and abilities as history researcher and history teacher through the process of preparation and execution of field training, results arrangement and review.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유적지를 선정하여 유물과 유적이 있는 현장을 실제 답사하면서 발표와 토론, 그리고 각종 세미나를 통해 관련 사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역사적 안목을 키워가도록 한다. 동시에 현장 실습의 준비와 실행, 결과 정리 및 검토의 과정을 통하여 역사 연구자 및 역사교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English

    Actually exploring the historical site where artifacts and monuments are located, expand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develop historical perspective through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seminars. At the same time, will be provided with the qualities and abilities as history researcher and history teacher through the process of preparation and execution of field training, results arrangement and review.

닫기
2/1학기 전선 4281055
한국사교육강독 (Readings in Korean History for Teaching)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55
  • 교과목명 : 한국사교육강독 (Readings in Korean History for Teach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문 사료의 해독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전근대 사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료를 통해 사실을 찾아내는 연습을 할 수 있다. 특히 사료의 형성 과정과 특징을 파악하여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사료 학습을 체계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is lecture aims to develop the deciphering ability of historical materials in old Chinese. Through this process, we can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pre-modern materials and practice finding facts through the material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aterial critically by identifying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them.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systematically teach historical materials’ learning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문 사료의 해독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전근대 사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료를 통해 사실을 찾아내는 연습을 할 수 있다. 특히 사료의 형성 과정과 특징을 파악하여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사료 학습을 체계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is lecture aims to develop the deciphering ability of historical materials in old Chinese. Through this process, we can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pre-modern materials and practice finding facts through the material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aterial critically by identifying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them.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systematically teach historical materials’ learning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닫기
2/1학기 전선 4281063
한국근현대사탐구 (Study o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63
  • 교과목명 : 한국근현대사탐구 (Study o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 근현대사 연구와 교육의 주요 쟁점, 특히 근대 전환, 일제강점기의 근대성 문제, 8·15 이후 분단과 전쟁의 역사, 대한민국사와 북한사 등의 제반 주제에 대해 심도있는 검토와 토론을 학생 중심으로 진행하면서 학교 현장의 역사교육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토론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ideology of the period from late Choson dynasty to contemporary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various reform movements as well as social and national problems. This course also includes the issues concerning dissolution of medieval system and establishment of modern society in Korea.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 근현대사 연구와 교육의 주요 쟁점, 특히 근대 전환, 일제강점기의 근대성 문제, 8·15 이후 분단과 전쟁의 역사, 대한민국사와 북한사 등의 제반 주제에 대해 심도있는 검토와 토론을 학생 중심으로 진행하면서 학교 현장의 역사교육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토론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ideology of the period from late Choson dynasty to contemporary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various reform movements as well as social and national problems. This course also includes the issues concerning dissolution of medieval system and establishment of modern society in Korea.

닫기
2/1학기 전선 4281069
한국인의역사인식 (Historical Understanding of Korean)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69
  • 교과목명 : 한국인의역사인식 (Historical Understanding of Korea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사 이해와 연구에 이용되는 역사적 기록과 서적들을 고대에서 현대까지 체제·내용 및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를 중심으로 파악하고, 이에 수반하여 한국사 서술의 방식과 그 역사학적 체계와 사상을 사회적·역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함으로써 한국사에 대한 이해와 역사교육의 내용을 풍부하게 할 수 있게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nvestigates contents, forms, and values of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from ancient to modern Korean history. It also examines Korean historiographical trends as they are related to social organizations and transformati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사 이해와 연구에 이용되는 역사적 기록과 서적들을 고대에서 현대까지 체제·내용 및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를 중심으로 파악하고, 이에 수반하여 한국사 서술의 방식과 그 역사학적 체계와 사상을 사회적·역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함으로써 한국사에 대한 이해와 역사교육의 내용을 풍부하게 할 수 있게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nvestigates contents, forms, and values of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from ancient to modern Korean history. It also examines Korean historiographical trends as they are related to social organizations and transformations.

닫기
2/1학기 전선 4281072
동아시아고대사 (Ancient History of Asia)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72
  • 교과목명 : 동아시아고대사 (Ancient History of Asia)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선사시대로부터 2세기까지의 아시아 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효율적인 강의를 위하여, 한반도를 비롯하여 아시아 각 지역과 관련성이 깊고 오랜 역사를 가진 중국을 중심으로, 문명 탄생으로부터 고대 제국의 성립과 초기 발전에 이르는 과정을 학습한다. 나아가 동아시아를 포함한 역사 세계의 성립 과정 및 21세기 글로벌 세계의 지속, 확장, 변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sian history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second century. For efficient lectures, we will learn the process from the birth of civilization to the establishment and early development of the ancient empire, focusing on China, which has a deep and long history associated with the Korean Peninsula and other parts of Asia. Furthermore, it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historical world, including East Asia, and the continuation, expansion and fluctuation of the global world in the 21st centu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선사시대로부터 2세기까지의 아시아 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효율적인 강의를 위하여, 한반도를 비롯하여 아시아 각 지역과 관련성이 깊고 오랜 역사를 가진 중국을 중심으로, 문명 탄생으로부터 고대 제국의 성립과 초기 발전에 이르는 과정을 학습한다. 나아가 동아시아를 포함한 역사 세계의 성립 과정 및 21세기 글로벌 세계의 지속, 확장, 변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sian history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second century. For efficient lectures, we will learn the process from the birth of civilization to the establishment and early development of the ancient empire, focusing on China, which has a deep and long history associated with the Korean Peninsula and other parts of Asia. Furthermore, it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historical world, including East Asia, and the continuation, expansion and fluctuation of the global world in the 21st century.

닫기
2/2학기 전선 4281013
한국근세사 (Modern History of Korea)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13
  • 교과목명 : 한국근세사 (Modern History of Korea)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전공 영역의 일부로서 한국의 근세사를 깊이 있게 강의함으로써 내용학적 지식을 충족시키고, 아울러 잘 가르칠 수 있는 방법론적 지식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조선시대의 주요한 사항들을 주제 중심으로 편성하여 강의하되, 수강자들이 예비교사임을 고려하여 가능하다면 현재 학계에서 제기되고 있거나 새롭게 밝혀진 사건 또는 인물들과 관련된 논점들을 드러내어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조선시대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역사교육의 교과상 지표를 세울 수 있게 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re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Korean medieval society from early to late Choson period. By focusing on the political formation,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and ideology of the period, this course outlin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remodern and early modern societ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전공 영역의 일부로서 한국의 근세사를 깊이 있게 강의함으로써 내용학적 지식을 충족시키고, 아울러 잘 가르칠 수 있는 방법론적 지식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조선시대의 주요한 사항들을 주제 중심으로 편성하여 강의하되, 수강자들이 예비교사임을 고려하여 가능하다면 현재 학계에서 제기되고 있거나 새롭게 밝혀진 사건 또는 인물들과 관련된 논점들을 드러내어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조선시대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역사교육의 교과상 지표를 세울 수 있게 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re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Korean medieval society from early to late Choson period. By focusing on the political formation,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and ideology of the period, this course outlin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remodern and early modern society.

닫기
2/2학기 전선 4281037
한국고·중세사교육특강 (Topics in Ancient Medieval History of Korea for Teaching)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37
  • 교과목명 : 한국고·중세사교육특강 (Topics in Ancient Medieval History of Korea for Teach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 고대사와 중세사 연구에서 쟁점이 되는 주제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한국사학계의 연구현황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논쟁이 지속되는 이유와 한계를 인식하여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한국사를 심층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lecture aims to identify topics that are at issue in the study of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in Korea. Through this, stuednts can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history studie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reasons and limitations for continuing the debate and to look for ways to overcome it.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teach Korean history in depth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 고대사와 중세사 연구에서 쟁점이 되는 주제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한국사학계의 연구현황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논쟁이 지속되는 이유와 한계를 인식하여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한국사를 심층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lecture aims to identify topics that are at issue in the study of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in Korea. Through this, stuednts can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history studie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reasons and limitations for continuing the debate and to look for ways to overcome it.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teach Korean history in depth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닫기
2/2학기 전선 4281050
서양중세사 (Medieval History of Europe)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50
  • 교과목명 : 서양중세사 (Medieval History of Europ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중세사의 주요 흐름을 그 역사적 전개과정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중세사의 시대적 특징을 파악하고 주요한 정치적, 문화적 사실을 역사적으로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중세사의 주요 사실을 파악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Medieval History of Europe’ is to understand the mainstream of medieval western history. In this subject, students stud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medieval western history and the chief political and cultural facts in that field.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historical facts in medieval western history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중세사의 주요 흐름을 그 역사적 전개과정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중세사의 시대적 특징을 파악하고 주요한 정치적, 문화적 사실을 역사적으로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중세사의 주요 사실을 파악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Medieval History of Europe’ is to understand the mainstream of medieval western history. In this subject, students stud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medieval western history and the chief political and cultural facts in that field.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historical facts in medieval western history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닫기
2/2학기 전선 4281070
세계사교육강독 (Reading in World History for Teaching)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70
  • 교과목명 : 세계사교육강독 (Reading in World History for Teach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 연구에 필수적인 1차 사료, 특히 한문, 영어 등의 자료에 대한 기초적 독해력을 익히는 한편, 한글, 영문, 일문 등으로 번역된 각 지역과 민족의 사료를 선별, 비판, 분석, 종합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며, 이를 통해 역사 연구 능력을 제고하고 중등학교 세계사 교육에 이바지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develop the ability to select, criticize, analyze, aggregate and utilize the materials on the history of each region and nation translated into Korean, English, Japanese, etc., while also learning the basic reading skills of the primary materials essential to the study of history, especially Chinese characters,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ability to study history and to teach secondary world histo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 연구에 필수적인 1차 사료, 특히 한문, 영어 등의 자료에 대한 기초적 독해력을 익히는 한편, 한글, 영문, 일문 등으로 번역된 각 지역과 민족의 사료를 선별, 비판, 분석, 종합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며, 이를 통해 역사 연구 능력을 제고하고 중등학교 세계사 교육에 이바지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develop the ability to select, criticize, analyze, aggregate and utilize the materials on the history of each region and nation translated into Korean, English, Japanese, etc., while also learning the basic reading skills of the primary materials essential to the study of history, especially Chinese characters,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ability to study history and to teach secondary world history.

닫기
2/2학기 전필 4281073
동아시아중세사 (Medieval History of Asia)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81073
  • 교과목명 : 동아시아중세사 (Medieval History of Asia)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3세기부터 9세기 아시아 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의의 효율성을 위하여 한반도를 비롯하여 아시아 각 지역과 관련성이 깊고 오랜 역사를 가진 중국을 중심으로 시대적 특징, 중국 왕조 교체 및 분열과 통일, 각국의 동태와 상호관계, 문벌사회의 형성과 변화, 신문화의 등장과 교류 등을 시대 순으로 학습하며, 고대사회가 중세사회로 바뀌고 그 중세사회가 해체되는 배경과 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sian history from the third to ninth centuries. For the efficiency of a lecture, focusing on China, which has a long history and is deeply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other parts of Asia,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the replacement and division and unification of the Chinese dynasties, the dynamics and interrelationship of each country, the formation and change of a literary society, the emergence and exchange of new cultures in order of the times, let us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ancient society being transformed into a medieval society and its disintegr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3세기부터 9세기 아시아 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의의 효율성을 위하여 한반도를 비롯하여 아시아 각 지역과 관련성이 깊고 오랜 역사를 가진 중국을 중심으로 시대적 특징, 중국 왕조 교체 및 분열과 통일, 각국의 동태와 상호관계, 문벌사회의 형성과 변화, 신문화의 등장과 교류 등을 시대 순으로 학습하며, 고대사회가 중세사회로 바뀌고 그 중세사회가 해체되는 배경과 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sian history from the third to ninth centuries. For the efficiency of a lecture, focusing on China, which has a long history and is deeply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other parts of Asia,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the replacement and division and unification of the Chinese dynasties, the dynamics and interrelationship of each country, the formation and change of a literary society, the emergence and exchange of new cultures in order of the times, let us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ancient society being transformed into a medieval society and its disintegration.

닫기
3/1학기 전선 4281014
서양근세사 (Modern History of Europ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14
  • 교과목명 : 서양근세사 (Modern History of Europ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근세사의 주요 흐름을 그 역사적 전개과정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근세사의 시대적 특징을 파악하고 주요한 정치적, 문화적 사실을 역사적으로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근세사의 주요 사실을 파악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Modern History of Europe’ is to understand the mainstream of medieval western history. In this subject, students stud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modern western history and the chief political and cultural facts in that field.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historical facts in modern western history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근세사의 주요 흐름을 그 역사적 전개과정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근세사의 시대적 특징을 파악하고 주요한 정치적, 문화적 사실을 역사적으로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근세사의 주요 사실을 파악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Modern History of Europe’ is to understand the mainstream of medieval western history. In this subject, students stud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modern western history and the chief political and cultural facts in that field.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historical facts in modern western history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닫기
3/1학기 전선 4281016
한국고고학 (Korean Archaeolog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16
  • 교과목명 : 한국고고학 (Korean Archae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 고고학의 연구 성과와 방법론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선사~남북국시기의 주요 유적과 유물, 그리고 이를 기초로 하여 생활 문화를 복원하여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최근 고고학계의 연구 경향과 발굴 성과를 이해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유물, 유적 학습을 체계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lecture aims to understand the research achievements and methodologies of Korean archaeology. Through this, the living culture can be restored and identified based on the major ruins and relics of Pre-historic age ~ South-North states period.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we understand the recent research trends and excavation achievements of archaeology.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systematically teach relics and historical sites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 고고학의 연구 성과와 방법론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선사~남북국시기의 주요 유적과 유물, 그리고 이를 기초로 하여 생활 문화를 복원하여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최근 고고학계의 연구 경향과 발굴 성과를 이해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유물, 유적 학습을 체계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lecture aims to understand the research achievements and methodologies of Korean archaeology. Through this, the living culture can be restored and identified based on the major ruins and relics of Pre-historic age ~ South-North states period.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we understand the recent research trends and excavation achievements of archaeology.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systematically teach relics and historical sites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닫기
3/1학기 전선 4281020
역사교육론 (Theories of History Educatio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20
  • 교과목명 : 역사교육론 (Theories of History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과 교과교육론으로 역사교육 이론과 실천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갖추어서 역사교사에게 필요한 전문성을 기르는 데 목적을 둔다. 역사교육의 기본 이론을 검토하고 역사교육의 기본 요소에 대한 탐구를 통해 실제 수업 능력을 제고한다. 학생은 역사교육의 이론과 교육과정의 기본 원리를 알고 그것을 바탕으로 역사교육의 방향과 쟁점을 표현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history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and to develop the expertise necessary for history teachers. It examines the basic theory of history education and improves practical teaching ability through exploration of key elements of history education. Students can understand the theory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principles of the curriculum, and express the direction and issues of history education and prepar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과 교과교육론으로 역사교육 이론과 실천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갖추어서 역사교사에게 필요한 전문성을 기르는 데 목적을 둔다. 역사교육의 기본 이론을 검토하고 역사교육의 기본 요소에 대한 탐구를 통해 실제 수업 능력을 제고한다. 학생은 역사교육의 이론과 교육과정의 기본 원리를 알고 그것을 바탕으로 역사교육의 방향과 쟁점을 표현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history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and to develop the expertise necessary for history teachers. It examines the basic theory of history education and improves practical teaching ability through exploration of key elements of history education. Students can understand the theory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principles of the curriculum, and express the direction and issues of history education and prepar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닫기
3/1학기 전필 4281054
고적현장실습3 (Spot Exercise in Historic Remains 3)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81054
  • 교과목명 : 고적현장실습3 (Spot Exercise in Historic Remains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유적지를 선정하여 유물과 유적이 있는 현장을 실제 답사하면서 발표와 토론, 그리고 각종 세미나를 통해 관련 사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역사적 안목을 키워가도록 한다. 동시에 현장 실습의 준비와 실행, 결과 정리 및 검토의 과정을 통하여 역사 연구자 및 역사교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English

      Actually exploring the historical site where artifacts and monuments are located, expand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develop historical perspective through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seminars. At the same time, will be provided with the qualities and abilities as history researcher and history teacher through the process of preparation and execution of field training, results arrangement and review.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유적지를 선정하여 유물과 유적이 있는 현장을 실제 답사하면서 발표와 토론, 그리고 각종 세미나를 통해 관련 사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역사적 안목을 키워가도록 한다. 동시에 현장 실습의 준비와 실행, 결과 정리 및 검토의 과정을 통하여 역사 연구자 및 역사교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English

    Actually exploring the historical site where artifacts and monuments are located, expand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develop historical perspective through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seminars. At the same time, will be provided with the qualities and abilities as history researcher and history teacher through the process of preparation and execution of field training, results arrangement and review.

닫기
3/1학기 전선 4281074
동아시아근세사 (Modern History of Asia)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74
  • 교과목명 : 동아시아근세사 (Modern History of Asia)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10세기 19세기 초까지의 아시아 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의의 효율성을 위하여, 한반도를 비롯하여 아시아 각 지역과 관련성이 깊은 중국 지역을 중심으로, 송, 요, 금, 원, 명, 청 및 관련 국가의 흥망성쇠와 상호성을 역사적 흐름 속에 파악하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상 등의 근대적 변화 양상을 학습하며, 동아시아 각국을 포함한 현대 글로벌 세계의 등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sian history up to the early 19th century in the 10th century. For the efficiency of a lecture, with a focus on the Chinese reg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all parts of Asia, the rise and fall of Song, Liao, Jin, Yuan, Ming, Qing and the related countries and their mutualities are identified in the historical flow, and learn the modern changes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culture, thought, etc. It will help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emergence of the modern global world, including countries in East Asia.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10세기 19세기 초까지의 아시아 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의의 효율성을 위하여, 한반도를 비롯하여 아시아 각 지역과 관련성이 깊은 중국 지역을 중심으로, 송, 요, 금, 원, 명, 청 및 관련 국가의 흥망성쇠와 상호성을 역사적 흐름 속에 파악하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상 등의 근대적 변화 양상을 학습하며, 동아시아 각국을 포함한 현대 글로벌 세계의 등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sian history up to the early 19th century in the 10th century. For the efficiency of a lecture, with a focus on the Chinese reg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all parts of Asia, the rise and fall of Song, Liao, Jin, Yuan, Ming, Qing and the related countries and their mutualities are identified in the historical flow, and learn the modern changes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culture, thought, etc. It will help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emergence of the modern global world, including countries in East Asia.

닫기
3/1학기 전선 4281079
한국근현대사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79
  • 교과목명 : 한국근현대사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20세기를 관통했던 대한제국, 일제식민지, 해방, 군정, 남북분단과 정부수립, 한국전쟁, 냉전, 민주화, 산업화 등과 관련한 주요한 사건 및 논점을 검토함으로써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문제와 쟁점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역사교육의 교과상 지표를 세울 수 있게 한다.

    • English

      This course understands major issues and issu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by examining major events and issues related to the Korean Empire, Japanese colonial rule, liberation, military administration,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government establishment, the Korean War, Cold War, democrat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20th century.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curriculum indicators for field history edu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20세기를 관통했던 대한제국, 일제식민지, 해방, 군정, 남북분단과 정부수립, 한국전쟁, 냉전, 민주화, 산업화 등과 관련한 주요한 사건 및 논점을 검토함으로써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문제와 쟁점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역사교육의 교과상 지표를 세울 수 있게 한다.

  • English

    This course understands major issues and issu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by examining major events and issues related to the Korean Empire, Japanese colonial rule, liberation, military administration,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government establishment, the Korean War, Cold War, democrat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20th century.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curriculum indicators for field history education.

닫기
3/2학기 전선 4281032
한국근·현대사교육특강 (Topics in Modern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for Teaching)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32
  • 교과목명 : 한국근·현대사교육특강 (Topics in Modern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for Teach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개항 이후 시기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한국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한국사를 위주로 하면서 특히 역사교육적 측면에 유의하여 주제별 심화 학습을 특강 형식으로 진행한다. 근래 한국 근현대사 논쟁에서 부각된 쟁점들도 포괄하여 검토하면서, 각 주제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한다.

    • English

      Fo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better preparation of its teaching, this course concentrates on selected topics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reviews important research materia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개항 이후 시기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한국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한국사를 위주로 하면서 특히 역사교육적 측면에 유의하여 주제별 심화 학습을 특강 형식으로 진행한다. 근래 한국 근현대사 논쟁에서 부각된 쟁점들도 포괄하여 검토하면서, 각 주제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한다.

  • English

    Fo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better preparation of its teaching, this course concentrates on selected topics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reviews important research materials.

닫기
3/2학기 전필 4281062
역사교재연구및지도법 (Methods and Materials in Teaching of Histor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81062
  • 교과목명 : 역사교재연구및지도법 (Methods and Materials in Teaching of His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예비 역사교사로서 필요한 교재 연구 능력 및 수업 전문성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사과 수업 내용 및 방법을 다루는 데 필요한 이론을 습득하고 실행 능력까지 갖출 수 있도록 교육과정 연구, 교재 연구 및 재구성,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및 수업 실연, 수업모형 연구 및 평가 능력을 제고하는 활동을 진행한다. 학생은 역사교육 내용을 이해하고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여 학습자에게 교수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equip students with the necessary teaching ability and teaching expertise as a history teacher. In order to equip students wit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kills necessary to deal with history classes, they conduct activities to enhance curriculum, textbook research, study instruction preparation, class demonstration, and evaluation skills. Students can teach by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and preparing teaching and learning pla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예비 역사교사로서 필요한 교재 연구 능력 및 수업 전문성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사과 수업 내용 및 방법을 다루는 데 필요한 이론을 습득하고 실행 능력까지 갖출 수 있도록 교육과정 연구, 교재 연구 및 재구성,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및 수업 실연, 수업모형 연구 및 평가 능력을 제고하는 활동을 진행한다. 학생은 역사교육 내용을 이해하고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여 학습자에게 교수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equip students with the necessary teaching ability and teaching expertise as a history teacher. In order to equip students wit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kills necessary to deal with history classes, they conduct activities to enhance curriculum, textbook research, study instruction preparation, class demonstration, and evaluation skills. Students can teach by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and preparing teaching and learning plans.

닫기
3/2학기 전선 4281065
서양현대사 (Contemporary History of Europ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65
  • 교과목명 : 서양현대사 (Contemporary History of Europ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 현대사의 주요 흐름을 그 역사적 전개과정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 현대사의 시대적 특징을 파악하고 주요한 정치적, 문화적 사실을 역사적으로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현대사의 주요 사실을 파악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Contemporary History of Europe’ is to understand the mainstream of contemporary western history. In this subject, the students stud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western history and the chief political and cultural facts in that field.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historical facts in contemporary western history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 현대사의 주요 흐름을 그 역사적 전개과정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 현대사의 시대적 특징을 파악하고 주요한 정치적, 문화적 사실을 역사적으로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현대사의 주요 사실을 파악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Contemporary History of Europe’ is to understand the mainstream of contemporary western history. In this subject, the students stud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western history and the chief political and cultural facts in that field.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historical facts in contemporary western history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닫기
3/2학기 전선 4281075
동아시아현대사 (Contemporary History of Asia)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75
  • 교과목명 : 동아시아현대사 (Contemporary History of Asia)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19~20세기 아시아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의의 효율성을 위하여, 한반도를 비롯하여 아시아 각 지역과 관련성이 깊고 오랜 역사를 가진 중국 지역을 중심으로, 각종 역사적 사건의 흐름 속에서, 전통과 근대, 외세와 저항, 개혁과 혁명, 사회경제적 변화, 지배 엘리트의 형성과 갈등, 과학과 사상과 문화의 발전 등을 이해하고자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sian history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For the efficiency of the lecture, with a focus on the Chinese region, which has a long history and is deeply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other parts of Asia, the traditions and modern, foreign and revolutionary, socioeconomic changes, the formation and conflict of the ruling elite,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e are identified through the various historical even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19~20세기 아시아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의의 효율성을 위하여, 한반도를 비롯하여 아시아 각 지역과 관련성이 깊고 오랜 역사를 가진 중국 지역을 중심으로, 각종 역사적 사건의 흐름 속에서, 전통과 근대, 외세와 저항, 개혁과 혁명, 사회경제적 변화, 지배 엘리트의 형성과 갈등, 과학과 사상과 문화의 발전 등을 이해하고자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sian history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For the efficiency of the lecture, with a focus on the Chinese region, which has a long history and is deeply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other parts of Asia, the traditions and modern, foreign and revolutionary, socioeconomic changes, the formation and conflict of the ruling elite,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e are identified through the various historical events.

닫기
3/2학기 전선 4281076
동아시아의역사서술과역사인식 (Historical Writing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in Asia)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76
  • 교과목명 : 동아시아의역사서술과역사인식 (Historical Writing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in Asia)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동아시아 역사 서술의 전통을 형성한 중국 사학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그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국의 역사서술을 검토하여 역사서술에 담긴 역사인식을 추출하는 한편 그것이 어떠한 역사적 기초 위에서 형성되었고 어떠한 과정을 거쳐 근대 역사인식과 접목되었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 역사자료 이해 능력과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료 선별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writing development process and its characteristics in Chinese history that shaped the tradition of East Asian history writing. After reviewing Chinese historical writings, while extracting historical understanding from historical texts, we understand what historical foundation it was formed on and how it was incorporated into modern historical perception. In this process, the ability to understand historical data and the ability to select historical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the education field will be improv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동아시아 역사 서술의 전통을 형성한 중국 사학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그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국의 역사서술을 검토하여 역사서술에 담긴 역사인식을 추출하는 한편 그것이 어떠한 역사적 기초 위에서 형성되었고 어떠한 과정을 거쳐 근대 역사인식과 접목되었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 역사자료 이해 능력과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료 선별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writing development process and its characteristics in Chinese history that shaped the tradition of East Asian history writing. After reviewing Chinese historical writings, while extracting historical understanding from historical texts, we understand what historical foundation it was formed on and how it was incorporated into modern historical perception. In this process, the ability to understand historical data and the ability to select historical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the education field will be improved.

닫기
3/2학기 전선 4281080
역사과교수법 (Teaching Method of Histor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80
  • 교과목명 : 역사과교수법 (Teaching Method of His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교육의 특성에 부합하는 교수 방법과 평가 방법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역사과 교육과정과 교육정책의 변화에 따른 학생활동 및 참여 중심의 교수학습 프로그램과 과정중심평가를 포함하며, 예비 역사교사들이 미래사회를 대비하면서 수업을 계획하고 이끌어가는 실질적인 역량을 기를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learns various theories and practices about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education. It includes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and course-based evaluations centered on student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history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y, and can foster practical competencies for pre-history teachers to plan and lead classes while preparing for the future societ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교육의 특성에 부합하는 교수 방법과 평가 방법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역사과 교육과정과 교육정책의 변화에 따른 학생활동 및 참여 중심의 교수학습 프로그램과 과정중심평가를 포함하며, 예비 역사교사들이 미래사회를 대비하면서 수업을 계획하고 이끌어가는 실질적인 역량을 기를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learns various theories and practices about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education. It includes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and course-based evaluations centered on student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history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y, and can foster practical competencies for pre-history teachers to plan and lead classes while preparing for the future society.

닫기
3/2학기 전선 4281081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81
  • 교과목명 :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3/2학기 전선 4281082
동남아시아사 (History of South-East Asia)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82
  • 교과목명 : 동남아시아사 (History of South-East Asia)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동남아시아의 개괄적 역사를 학습하며 이를 통해 역사인식을 제고하고 중등학교 세계사 교육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방대한 내용을 효율적으로 강의하기 위하여 동남아시아의 생태환경과 공간적 특징, 인도, 중국, 아랍, 유럽, 일본 등 외부 세력의 영향, 각 지역과 국가의 내적 성장 과정, 대륙과 도서 지역의 상호관계, 사회와 문화의 복잡성과 역동성 등을 국가별로 구분하되 관계사의 관점에서 체계화하여 구조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enhance awareness of history and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world history by studying Southeast Asia's comprehensive history. In order to effectively lecture on the vast contents,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outheast Asia, the influence of external forces such as India, China, Arab, Europe, and Japan, the internal growth process of each region and countr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ontinents and islands, and the complexity and dynamics of society and culture are divided by countries, but systematically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ed histo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동남아시아의 개괄적 역사를 학습하며 이를 통해 역사인식을 제고하고 중등학교 세계사 교육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방대한 내용을 효율적으로 강의하기 위하여 동남아시아의 생태환경과 공간적 특징, 인도, 중국, 아랍, 유럽, 일본 등 외부 세력의 영향, 각 지역과 국가의 내적 성장 과정, 대륙과 도서 지역의 상호관계, 사회와 문화의 복잡성과 역동성 등을 국가별로 구분하되 관계사의 관점에서 체계화하여 구조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enhance awareness of history and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world history by studying Southeast Asia's comprehensive history. In order to effectively lecture on the vast contents,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outheast Asia, the influence of external forces such as India, China, Arab, Europe, and Japan, the internal growth process of each region and countr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ontinents and islands, and the complexity and dynamics of society and culture are divided by countries, but systematically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ed history.

닫기
4/1학기 전선 4281038
일본사 (Japanese Histor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38
  • 교과목명 : 일본사 (Japanese His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일본사의 특징을 이해하고, 각 시대의 흐름과 그 성격 및 역사상의 주요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객관적인 입장에서 일본의 역사를 탐구하고,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검토함으로써 일본사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심화시키고, 일본사 연구 및 역사교육의 새로운 시각과 방법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history and to grasp the flow of each era, its character and major issues in history. By exploring Japanese history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selecting and reviewing certain subjects, we deepen ou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Japanese history, and seek new perspectives and methods of Japanese history research and history edu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일본사의 특징을 이해하고, 각 시대의 흐름과 그 성격 및 역사상의 주요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객관적인 입장에서 일본의 역사를 탐구하고,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검토함으로써 일본사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심화시키고, 일본사 연구 및 역사교육의 새로운 시각과 방법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history and to grasp the flow of each era, its character and major issues in history. By exploring Japanese history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selecting and reviewing certain subjects, we deepen ou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Japanese history, and seek new perspectives and methods of Japanese history research and history education.

닫기
4/1학기 전선 4281051
서양사교육특강 (Topics in European History for Teaching)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51
  • 교과목명 : 서양사교육특강 (Topics in European History for Teach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사의 주요 사실을 선별하여 그 역사적 맥락 내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사 연구의 주요 쟁점을 역사적으로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사의 주요 사건을 그 역사적 맥락 내에서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Topics in European History for Teaching’ is to understand important historical facts in western history. In this subject students choose the major issues in western history and study them historically.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historical facts in western histo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사의 주요 사실을 선별하여 그 역사적 맥락 내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사 연구의 주요 쟁점을 역사적으로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사의 주요 사건을 그 역사적 맥락 내에서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Topics in European History for Teaching’ is to understand important historical facts in western history. In this subject students choose the major issues in western history and study them historically.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ain historical facts in western history.

닫기
4/1학기 전필 4281060
역사과논리및논술 (Teaching Logic and Writing in Histor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81060
  • 교과목명 : 역사과논리및논술 (Teaching Logic and Writing in His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교사로서 필요한 글읽기와 글쓰기 능력을 갖추고 표현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사과 글쓰기의 논리를 익히고 역사 교재의 활동을 수업과 연결시켜 수업 실행과 성찰, 관찰을 함으로써 교수학습 능력을 제고한다. 학생은 전문적인 역사교육 관련 글을 이해하고 교재 연구를 통해 수업 능력과 글쓰기 지도 능력을 가질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develop the necessary reading and writing skills as a history teacher and to have the ability to communicate. Students learn the logic of history and writing, connect textbook activities with class practice, and observe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skills. Students can understand professional writing and have teaching and writing skil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역사교사로서 필요한 글읽기와 글쓰기 능력을 갖추고 표현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사과 글쓰기의 논리를 익히고 역사 교재의 활동을 수업과 연결시켜 수업 실행과 성찰, 관찰을 함으로써 교수학습 능력을 제고한다. 학생은 전문적인 역사교육 관련 글을 이해하고 교재 연구를 통해 수업 능력과 글쓰기 지도 능력을 가질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develop the necessary reading and writing skills as a history teacher and to have the ability to communicate. Students learn the logic of history and writing, connect textbook activities with class practice, and observe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skills. Students can understand professional writing and have teaching and writing skills.

닫기
4/1학기 전선 4281067
서양의역사서술과역사인식 (Historical Writing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in Western)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67
  • 교과목명 : 서양의역사서술과역사인식 (Historical Writing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in Wester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사 서술의 역사를 역사적 배경 하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사학사에서 주요 역사가들을 선별하여 학습한다. 학생은 서양사학사 학습을 통하여 역사학의 의미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Historical Writing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in West’ i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historical writing in West in historical background. In this subject students study the important historians and their historical writings selectively.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eaning of history in depth.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사 서술의 역사를 역사적 배경 하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사학사에서 주요 역사가들을 선별하여 학습한다. 학생은 서양사학사 학습을 통하여 역사학의 의미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Historical Writing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in West’ i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historical writing in West in historical background. In this subject students study the important historians and their historical writings selectively.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meaning of history in depth.

닫기
4/1학기 전선 4281084
동아시아사교육특강 (Topics in Asian History for Teaching)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84
  • 교과목명 : 동아시아사교육특강 (Topics in Asian History for Teach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아시아사의 개론 강의에서 다루지 못한 학계의 이슈 및 중등교육에서도 심화학습이 필요한 주제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시아사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상 등에서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해당 주제와 관련된 논문과 저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토론함으로써 읽기 및 분석 능력도 제고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issues in academia and topics that require deep-seated learning even in secondary education, which were not covered in an introductory lecture in Asian history. Although it covers the entire history of Asia, certain subjects are selected in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thought to analyze and discuss papers and books related to the subject to increase reading and analysis abilit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아시아사의 개론 강의에서 다루지 못한 학계의 이슈 및 중등교육에서도 심화학습이 필요한 주제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시아사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상 등에서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해당 주제와 관련된 논문과 저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토론함으로써 읽기 및 분석 능력도 제고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issues in academia and topics that require deep-seated learning even in secondary education, which were not covered in an introductory lecture in Asian history. Although it covers the entire history of Asia, certain subjects are selected in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thought to analyze and discuss papers and books related to the subject to increase reading and analysis ability.

닫기
4/2학기 전선 4281029
한국사의제문제 (Issues in Korean Histor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29
  • 교과목명 : 한국사의제문제 (Issues in Korean His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근래의 연구성과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최근의 연구 경향과 방법론, 새로운 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논쟁이 되어 온 주제와 연구가 미진한 부분을 파악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한국사 전반을 체계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lecture aims to review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on Korean history and culture. This allows us to identify recent research trends, methodologies and new achievements. In particular, be aware of the subject matter that has been debated and of the lack of research.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systematically teach the entire history of Korea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근래의 연구성과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최근의 연구 경향과 방법론, 새로운 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논쟁이 되어 온 주제와 연구가 미진한 부분을 파악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한국사 전반을 체계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lecture aims to review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on Korean history and culture. This allows us to identify recent research trends, methodologies and new achievements. In particular, be aware of the subject matter that has been debated and of the lack of research.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systematically teach the entire history of Korea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닫기
4/2학기 전선 4281044
서양사의제문제 (Issues in European Histor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44
  • 교과목명 : 서양사의제문제 (Issues in European His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사 내의 주요 이슈들을 선별하여 역사적 배경 하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이슈들의 역사적 내용과 그 의의를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사 내의 주요 이슈들을 학습하여 그 역사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Issues in European Histor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t issues of western history in historical background. In this subject students study the issues historical an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issu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서양사 내의 주요 이슈들을 선별하여 역사적 배경 하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이슈들의 역사적 내용과 그 의의를 이해한다. 학생은 서양사 내의 주요 이슈들을 학습하여 그 역사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The learning objective of ‘Issues in European Histor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t issues of western history in historical background. In this subject students study the issues historical an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We expect that after finishing this learning course,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issues.

닫기
4/2학기 전선 4281066
글로벌한국사 (Korean History in the Glob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66
  • 교과목명 : 글로벌한국사 (Korean History in the Glob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사를 세계사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한국 역사와 문화의 특징을 객관적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관련 영문 서적과 논문을 검토하여 구미 학계의 연구 경향과 시각을 이해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국제적 시야에서 한국사를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lecture aims to grasp Korean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history. Through this, w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from an objective view.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look at relevant English books and paper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and perspectives of the Europe & the U.S. academic community.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teach Korean history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국사를 세계사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통해서 한국 역사와 문화의 특징을 객관적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관련 영문 서적과 논문을 검토하여 구미 학계의 연구 경향과 시각을 이해하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국제적 시야에서 한국사를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lecture aims to grasp Korean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history. Through this, w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from an objective view.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look at relevant English books and paper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and perspectives of the Europe & the U.S. academic community. In addition, for a preliminary teacher, this course will seek ways to teach Korean history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in conjunction with secondary school learning content.

닫기
4/2학기 전선 4281083
동아시아사의제문제 (Issues in Asian Histor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81083
  • 교과목명 : 동아시아사의제문제 (Issues in Asian His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아시아사의 쟁점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법과 봉건, 황제지배체제, 유목제국과 정복왕조, 시대구분, 농민반란, 왕조순환, 중화사상, 책봉체제, 군벌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관련 연구 성과를 선정하고 분석함으로써 역사에 대한 통찰과 세계사 교육을 위한 새로운 시각과 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deepen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issues of Asian history. It selects and analyzes related research achievements on various subjects, including the clan rules and feudalism, the emperor rule, nomadic empires and conquest dynasties, period division and classification, peasant rebellion, dynastic cycle, sinocentrism, Tse-Feng system, and warlords, so as to gain insight into history and new perspectives and methods for education in world histo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아시아사의 쟁점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법과 봉건, 황제지배체제, 유목제국과 정복왕조, 시대구분, 농민반란, 왕조순환, 중화사상, 책봉체제, 군벌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관련 연구 성과를 선정하고 분석함으로써 역사에 대한 통찰과 세계사 교육을 위한 새로운 시각과 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 English

    The course aims to deepen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issues of Asian history. It selects and analyzes related research achievements on various subjects, including the clan rules and feudalism, the emperor rule, nomadic empires and conquest dynasties, period division and classification, peasant rebellion, dynastic cycle, sinocentrism, Tse-Feng system, and warlords, so as to gain insight into history and new perspectives and methods for education in world history.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